호시노 미치오 1996년 7월 22일 러시아 캄차카 반도 쿠릴 호에서 TBS 프로그램 취재. 8월 8일 쿠릴 호반에서 불곰의 습격으로 사망. 향년 43세. 대학 새내기를 나던 여름, 토막으로 접한 글에서 호시노 미치오를, 캄차카를 처음 알게 되었다. 그리고 궁금했다. 호시노 미치오라는 사람이, 캄차카라는 곳이. 10대 후반 청년시절 알래스카로 떠난 이래, 20여 년간 알래스카의 자연을 시처럼 담아낸 세계적인 야생사진가. 한동안 '알래스카 이야기'를 비롯한 호시노 미치오의 자취를 쫓아다녔다. 야생사진가라는 그의 삶, 그가 사랑했던 알래스카와 캄차카를 알게 된 후부터 이곳에 꼭 가보고 싶다는 열망, 꿈에 사로잡혔다.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 하더니, 진실이다. 2008년 여름, 캄차카 땅을 밟아볼 수 있는 ..
캄차카 여행의 마지막 날, 아바차 만(灣) 앞에 펼쳐진 베링 해(Bering Sea)로 크루즈 및 낚시를 나갑니다. 베링 해는 시베리아 북동부와 알래스카를 가르는 북태평양의 바다를 일컫는데, 위로는 북극해와 맞닿아 있습니다. 1648년에 데주뇨프가 이끄는 러시아 선단이 처음 탐험했으며, 1728년에 이 해역을 다녀간 덴마크 선장 비투스 베링의 이름을 따서 베링 해라고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베링 해에는 식물과 해양생물이 풍부하여 연어·청어·대구·가자미·스테놀랩가자미 등이 대량으로 잡히고, 베링 해의 섬들에는 물개와 해달이 서식하고, 북부 해역에는 바다코끼리·바다표범·바다사자 등이 살고 있습니다. 캄차카 반도의 주도(洲都)이자 경제의 중심지인 페트로파블로스크, 아바차 만(灣)에서 배를 기다립니다. 현지 여행..
산란기를 맞아 강으로 회귀하는 북태평양 연어를 낚기 위해, 비스트라야 강 하류 우스트볼쇼레이크로 향합니다. 비스트라야 강(Bystraya River)은 캄차카 반도의 스레딘니 산맥과 보스토츠니 산맥 사이에서 발원하여 오호츠크해의 남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강으로, 연어 낚시와 래프팅을 하기 위해 수많은 관광객이 찾아드는 명소입니다. 매년 5월부터 9월까지 홍연어, 은연어, 참연어, 곱사연어 등 북태평양의 연어들이 산란을 하기 위해 캄차카 반도로 회귀하는데, 그 중에서도 남부 일린스키 화산 인근의 쿠릴스코예 호수(Kurilskoye Lake)가 러시아 최대의 홍연어 산란장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불곰이 연어를 사냥하고, 홍연어가 무리를 지어 회귀하고 있는 위 사진은 쿠릴스코예 호수 부근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인..
캄차카 반도는 지금 이 순간에도 지형 형성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살아 숨쉬는 땅' 입니다. 판구조론에 의하면, 태평양판이 유라시아 지각판 밑으로 들어가면서 발생된 마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분출되어 다양한 화산지형이 형성되었고, 현재 22개의 활화산에서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캄차카 반도 중앙에 스레딘니 산맥이 뻗어 있고, 스레딘니 동쪽으로 보스토츠니 산맥이 나란히 자리해 두 산맥 사이의 넓은 평야지대로 캄차카강이 흐르며, 화산은 반도의 동쪽 베링해 연안과 보스토츠니 산맥 사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크로노츠키 자연보호구역을 비롯해 날리체보·비스트린스키·클류체브스카야 ·남캄차카 자연공원, 남캄차카 조수보호지역 등은 캄차카 화산군(Volcanoes of Kamchatk..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